맨위로가기

김성은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은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소위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해군 참위로 임관하여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이다. 한국 전쟁 당시 통영 상륙 작전을 지휘하여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애칭을 얻는 데 기여했으며, 해병대 사령관, 국방부 장관, 재향군인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사혁명위원회 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으로 최장 기간 재임했다. 2007년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2014년 전쟁기념관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병 중장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대한민국 해병 중장 - 김정호 (1931년)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인 김정호(1931년)는 대한민국 해병대 장성으로 해병대 사령관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을 지냈으며, 제11대 국회의원과 건양기업 및 대한중석광업 대표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 김정호 (1931년)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인 김정호(1931년)는 대한민국 해병대 장성으로 해병대 사령관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을 지냈으며, 제11대 국회의원과 건양기업 및 대한중석광업 대표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 박구일
    박구일은 해병대 사령관을 지낸 군인 출신으로,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을 역임하고 통일국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제14대,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김성은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성은 국방장관
씨명김성은
한자 표기金聖恩
한글 표기김성은
가타카나 표기김・손운
로마자 표기Gim Seong-eun (2000년식)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Kim Sŏngŭn
출생일1924년 12월 20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가음정리
사망일2007년 5월 15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38호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최종 계급소위
중장
주요 보직
진해 해병 교육단단장
해병 제1전투단단장
해병대 제1사단사단장
해병대사령부사령관
참전한국 전쟁
주요 경력
대한중공업사장
재향군인회회장
해병전우회 중앙회총재
해병대 전략연구소이사장
훈장
주요 훈장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2회)
충무무공훈장(2회)
보국훈장 국선장
보국훈장 통일장
미국 은성훈장
미국 지휘관최고훈장
미국 동성훈장
미국 공로훈장(2회)
국방부 장관 재임
직책제15대 국방부 장관
임기1963년 3월 16일 ~ 1968년 2월 27일
전임박병권
후임최영희
정당무소속
종교
종교개신교(예장통합)

2. 생애

김성은은 1946년 대한민국 해군 참위(현 소위)로 임관하여, 1949년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통영 상륙 작전을 지휘하여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애칭을 얻는 데 기여하였다.[4]

1953년 9월 해병학교 교장을 거쳐, 1956년 2월 해병 제1사단장, 1958년 국방대학교를 졸업하고 1959년 해병대 참모장 겸 부사령관, 1960년 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2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된 후 재향군인회 회장을 역임하고, 1963년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을 지냈다. 이후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대한민국 향토예비군 창설, 구축함 도입, 합동참모본부 설치 등 국방력 증강에 힘썼다.

2014년 8월, 전쟁기념관은 김성은을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하였다.[3]


  • 한국전쟁과 관련된 내용은 하위 섹션인 "한국전쟁"에서 다룬다.
  • 5·16 군사 정변과 관련된 내용은 하위 섹션인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정부"에서 다룬다.
  • 예편 이후의 활동과 관련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예편 이후"에서 다룬다.

2. 1. 한국전쟁 이전

1924년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에서 태어났다. 본관김해 김씨이다.[1] 창원 상남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숙부가 있는 만주 하얼빈으로 건너가 대도관중학교에 입학했다. 1942년 3월 하얼빈 농과대학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학도 출진하여 일본군 소위가 되었다. 종전 후 1945년 9월부터 12월까지 대도관중학교 출신으로 구성된 하얼빈 고려자경단장으로서 한교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했다.[2]

귀국 후 손원일의 권유로 해안경비대에 입대했다. 1946년 4월 1일, 해군병학교를 특임으로 졸업하고 소위(군번 80063번)로 임관했다. 같은 해 9월에 목포기지사령부 부관(중위)이 되었다. 1947년 5월에는 부산기지사령부 부사령관(대위)이 되었고, 1948년 6월에 묵호기지사령부 부사령관(소령), 8월에 진해통제부 교육부장(중령)을 역임했다. 1949년 9월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되자 사령부 참모장에 취임했다.

2. 2. 한국전쟁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김성은은 부대를 이끌고 민기식 부대, 오덕준 부대와 함께 조선인민군 제6사단의 지연 작전에 투입되었다. 같은 해 8월, 통영 상륙 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는데, 이 전투는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별명이 생겨난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4]

김성은은 1950년 12월 27일 해병 제1연대장, 1952년 3월 20일 해병교육단장, 1952년 10월 16일 해병전투단장을 역임했다.

2. 3. 한국전쟁 이후

1961년 5·16 군사 정변에 참가하거나 이를 지지하지 않아, 다음 날부터 육군 본부에 출두 명령을 받았고, 해군 및 공군 참모총장과 함께 살해당할 뻔 하기도 했다.[4] 이후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을 역임했다. 1962년 7월 18일부터 1963년 3월 4일까지 8개월 동안 제10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3월 16일부터 1968년 2월 27일까지 5년 동안 제15대 국방부 장관으로 재임했다. 특히 그는 역대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중 최장기 재임 장관인 동시에 현재까지 유일한 해병대 출신 장관이기도 하다. 1968년 1·21 청와대 기습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을 사임하였다.

1968년 3월, 대통령 특별보좌관이 되었다. 미국의 군사 정책 변화를 이용하여 F-4 18기를 수령했다.

1952년 3월 20일, 해병교육단장이 되었다.[4] 1952년 10월 16일, 해병전투단장이 되었다.[4] 1953년 9월, 해병학교 교장이 되었다. 1956년 2월, 해병 제1사단장이 되었다. 1958년, 국방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59년, 해병대 참모장 겸 부사령관이 되었다. 1960년, 해병대 사령관이 되었다. 1961년 5월, 군사혁명위원·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이 되었다. 1962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재향군인회 회장이 되었다. 1963년 2월,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이 되었다. 3월, 국방부 장관이 되었다.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과 푸에블로호 사건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향토예비군을 창설했으며, 그 외에 구축함 도입과 합동참모본부를 설치하는 등 국방력 증강에 힘썼다.

독실한 장로교(통합) 신자로 예편 후 서울 신당동의 신일교회에 출석하였으며,[4] 노무현 정부 때는 후임자이기도 한 윤광웅 국방부 장관의 전시 작전권 환수 추진에 반대 운동을 벌였다. 2007년 5월 15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으며,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

2014년 8월, 전쟁기념관이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하였다.[3]

2. 4.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정부

5·16 군사 정변에 참가하거나 지지하지 않아, 다음 날 육군 본부로부터 출두 명령을 받았다. 해군 및 공군 참모총장과 함께 살해될 뻔하기도 했다.[4] 이후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을 역임했다. 1962년 7월 18일부터 1963년 3월 4일까지 제10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3월 16일부터 1968년 2월 27일까지 제15대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역대 국방부 장관 중 최장기 재임 장관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해병대 출신 장관이다. 1968년 1·21 청와대 기습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1963년 2월,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이 되었다. 국방부 장관 재임 중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과 푸에블로호 사건이 발생하자 대한민국 향토예비군을 창설했으며, 구축함 도입과 합동참모본부를 설치하는 등 국방력 증강에 힘썼다. 1968년 3월, 대통령 특별보좌관이 되었다. 미국의 군사 정책 변화를 이용하여 F-4 18기를 수령했다.

2. 5. 예편 이후

김성은은 독실한 장로교(통합) 신자로, 예편 후 서울 신당동의 신일교회에 출석하였다.[4]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자신의 후임 국방부 장관이었던 윤광웅의 전시 작전권 환수 추진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2007년 5월 15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으며,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

3. 학력

4. 평가

김성은은 한국 전쟁 당시 통영 상륙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등 군인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방부 장관 재임 시절에는 대한민국 향토예비군 창설, 구축함 도입, 합동참모본부 설치 등 국방력 강화에 힘썼다.[2]

그러나 1·21 사태와 푸에블로호 사건 등 안보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서 그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4. 1. 긍정적 평가

김성은은 한국 전쟁 당시 통영 상륙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전쟁기념관은 2014년 8월 그를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3]

4. 2. 부정적 평가

김성은은 한국 전쟁에서 여러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군인으로서 능력을 인정받았으나, 국방부 장관 재임 시절 1·21 사태와 푸에블로호 사건 등 안보 위기가 발생하면서 그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5. 상훈

1951년 통영 상륙작전의 공로로 태극무공훈장을 받았으며,[6] 을지무공훈장(2회), 충무무공훈장(2회), 무공포장, 보국훈장 국선장, 보국훈장 통일장을 받았다. 국외에서도 미국 은성훈장, 미국 지휘관최고훈장, 미국 동성훈장, 미국 공로훈장(2회), 대만 최고훈장, 태국 최고훈장, 베트남 최고훈장, 말레이시아 최고훈장 등을 받았다.[7]

6. 기타

2008년 포항의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에 준공된 강당 '''김성은관'''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1)김해 김씨(金海金氏)-4,124,934명 http://www.seoulecon[...] 2014-07-05
[2] 웹사이트 김성은 (金聖恩) https://encykorea.ak[...] 韓国民族文化大百科辞典 2024-09-25
[3] 뉴스 故金聖恩海兵隊中将、8月の護国人物に選定 http://www.newsis.co[...] 2014-07-31
[4] 간행물 나라 사랑, 예수 사랑에 목숨 아끼지 않았던 분 http://www.pckworld.[...] 한국기독공보
[5] 뉴스 해병대교육훈련단 전군 최대 규모 훈련관 준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0-29
[6] 뉴스 박상호<진주보훈지청> - '귀신잡는 해병' 호국영웅 김성은 장군을 기억하며 http://www.hansannew[...] 한산신문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